중국 입국 신고서 쓰는 법을 안내하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현재, 중국 입국 절차는 이전보다 간소화되었으나, 외국인 방문자에게는 여전히 입국 신고서(Arrival Card) 작성이 필수입니다. 해당 신고서는 입국 심사 전 필수 제출 문서로서, 온라인 방식과 종이(오프라인) 방식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중국 입국 신고서 쓰는 법”을 중심으로 온라인·오프라인 작성 절차, 최신 제도 변화, 작성 시 유의사항, 실전 팁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목차
중국 입국 신고서 개요
중국 입국 신고서는 모든 외국인이 중국 입국 시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필수 서류입니다. 기존에는 입국신고서와 출국신고서가 분리되어 있었지만, 현재는 한 장으로 통합되어 더욱 간편해졌습니다.
📢중국 입국 시 필요한 서류
- 여권 (유효기간 6개월 이상)
- 중국 비자 또는 무비자 입국 자격
- 입국신고서 (종이 또는 온라인 전자신고서)
- 건강신고서 (2023년 11월부터 일반적으로 면제, 특별한 경우만 필요)
2024년부터 무비자 입국이 확대되면서 한국인 관광객들의 중국 여행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상하이, 베이징, 칭다오 등 주요 도시들이 인기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어 입국신고서 작성법을 미리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국 입국 신고서 쓰는 법 (온라인)
2024년 5월부터 상하이 홍차오 국제공항을 시작으로 도입되었습니다. 아래 글에서는 중국 입국 신고서 쓰는 법 상세 절차 및 온라인 오프라인 작성방법을 안내 합니다.
1단계: 인적 정보 입력
- 성(姓): 여권상 성을 영문으로 입력 (예: KIM)
- 명(名): 여권상 이름을 영문으로 입력 (예: MINHO)
- 성별: 남성/여성 선택
- 국적: KOREA 입력
- 생년월일: YYYY-MM-DD 형식으로 입력
- 중문이름: 한자 이름 (선택사항, 비워두어도 됨)
- 여권번호: 여권의 번호란에 기재된 번호 정확히 입력
2단계: 비자 및 교통편 정보
- 비자면제: 무비자 입국 시 '예', 비자 소지 시 '아니요' 선택
- 비자번호: 비자 소지자만 입력 (비자 우측 하단 8자리 영문숫자 조합)
- 항공편명: 탑승 항공편 번호 (예: OZ331, KE891)
- 전화번호: 본인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
- 방문도시: 중국 내 방문 예정 도시명 영문 입력
3단계: 숙박 및 방문 목적
- 중국 주소: 호텔명 또는 거주 예정 주소 영문 입력
- 중국 도시: 숙박 예정 도시명
- 입국 목적: 여행(旅游), 비즈니스(访问/商务), 친척방문(探亲) 등 선택
4단계: 출국 계획 및 기타 정보
- 왕복 항공권 구매 여부: 예매 완료 시 '예' 선택
- 출국 예정일: 귀국 항공편 날짜 입력
- 귀국 항공편명: 출국 항공편 번호 입력
- 초청 기관/인: 해당사항 있을 시에만 입력
- 최근 2년간 방문 국가: 한국만 거주했다면 'KOREA' 입력
종이 입국신고서 작성방법 및 유의사항
온라인 전자 입국신고서를 이용할 수 없는 공항이나 상황에서는 여전히 종이 입국신고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중국행 항공편에서 기내에서 입국신고서를 배포하므로 비행 중에 미리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앞면 작성 요령
- 성명: 여권과 동일한 영문 성명 기재
- 성별: M(남성) 또는 F(여성) 표시
- 생년월일: DDMMYYYY 형식 (예: 15031990)
- 국적: KOREA 또는 KOR 기재
- 여권번호: 여권 번호란의 정확한 번호
- 비자번호: 비자 소지자만 기재 (무비자 입국 시 공백)
- 항공편명: 탑승 항공편 정보
- 출발지: KOREA 또는 SEOUL 기재
- 중국 내 주소: 호텔명과 간단한 주소
2) 뒷면 작성 요령
- 출국 예정일: 귀국 예정 날짜
- 출국 교통편: 귀국 항공편명
- 중국 내 연락처: 호텔 전화번호 또는 현지 연락처
- 최근 방문 국가: 지난 2년간 방문한 국가들
- 서명: 여권과 동일한 서명
구분 | 주의사항 |
영어 또는 중국어로만 작성 | 한글 사용 금지 |
정확한 정보 입력 | 여권 정보와 반드시 일치해야 함 |
검은색 볼펜 사용 | 연필 또는 지워지는 펜 사용 금지 |
수정액 사용 금지 | 잘못기입하였을 시 새양식으로 다시 작성 |
중국 공항별 입국 신고서 처리 절차
베이징 수도공항, 푸동공항, 칭다오공항 등 주요 공항에서도 온라인 전자 입국신고서 도입이 진행되어 중국 내 곳곳 입국 절차가 간소화 되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1) 상하이 홍차오 공항 (온라인 신고서 이용 가능)
- 사전 온라인 작성: 출발 전 전자 입국신고서 작성 완료
- QR코드 생성: 작성 완료 후 자동 생성되는 QR코드 저장
- 공항 키오스크 이용: 도착 후 입국장 키오스크에서 QR코드 스캔
- 신고서 출력: 자동 출력된 신고서 수령
- 입국 심사: 여권과 출력된 신고서 함께 제출
2) 기타 공항 (종이 신고서 사용)
- 기내 작성: 항공기 내에서 배포되는 신고서 작성
- 입국 심사대: 외국인(外国人) 전용 창구로 이동
- 서류 제출: 여권, 비자(해당시), 입국신고서 함께 제출
- 지문 등록: 첫 입국 시 또는 요청 시 지문 등록 진행
- 입국 완료: 심사 완료 후 수하물 수령장으로 이동
중국 입국신고서 작성 시 자주 발생하는 실수
해외 입국 시 작성하는 입국신고서는 단순해 보이지만, 작은 실수로 인해 입국 심사가 지연되거나 재작성 요구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중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세부 기재 방식이 엄격하여 여행자가 자주 혼동하는 항목들이 존재합니다.
구분 | 문제상황 | 해결법 | 추가 팁 및 예시 |
비자번호와 여권번호 혼동 |
비자번호란에 여권번호를 기재하는 실수 | 비자번호는 비자 스티커 우측 하단 8자리 영문+숫자 |
무비자 입국 시 공란 또는 "VISA FREE" 기재 |
중국 주소불명확 기재 | 호텔명만 쓰거나 한글로 작성 |
호텔 영문명 + 간단한 영문 주소 | 예시: Hilton Shanghai Hongqiao, No.250 Hongqiao Road |
생년월일 형식 오류 | 한국식 표기 (예: 90.03.15) 사용 |
온라인: YYYY-MM-DD / 종이: DDMMYYYY |
1990년 3월 15일 →온라인: 1990-03-15, 종이: 15031990 |
항공편명 불정확 | 항공사명만 기재하거나 잘못 입력 | 항공권에 표기된 정확한 편명 입력 | 아시아나항공 OZ331편 → "OZ331" 기재 |
서명 불일치 | 여권 뒷면 서명과 다르게 작성 |
반드시 여권과 동일한 서명 작성 | 한글 서명 가능, 단 여권과 동일해야 함 |
- 모든 필수 항목 누락 없이 기재했는지 확인
- 여권 정보와 입력 정보가 정확히 일치하는지 점검
- 영문은 주로 대문자로 기재
- 날짜 형식이 국가별 규정과 일치하는지 확인
-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 기재 여부 확인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무비자 입국인데 비자번호란은 어떻게 작성해야 하나요?
무비자 입국자의 경우 비자번호란을 비워두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심사관 이해를 돕기 위해 ‘VISA FREE’라고 기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Q2. 호텔 주소는 꼭 영문으로 써야 하나요?
네, 반드시 영문으로 작성하셔야 합니다. 한글로 기재할 경우 입국 심사관이 확인하지 못해
불필요한 질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호텔 영문명과 간단한 영문 주소를 함께 적는 것이 안전합니다.
Q3. 생년월일을 온라인과 종이 양식에서 다르게 써야 하나요?
그렇습니다. 온라인은 YYYY-MM-DD(예: 1990-03-15) 형식을 사용하고,
종이 입국신고서는 DDMMYYYY(예: 15031990) 형식을 따라야 합니다.
Q4. 항공편명을 잘못 적으면 문제가 되나요?
네,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항공편명은 입국 경로 확인에 중요한 정보이므로 반드시 항공권에 적힌 편명과 동일하게 기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시아나항공 OZ331편은 "OZ331"로 정확히 입력해야 합니다.
Q5. 서명은 꼭 여권에 있는 서명과 똑같이 써야 하나요?
네, 반드시 동일해야 합니다. 여권 뒷면 서명과 다르면 입국 심사에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한글 서명도 허용되지만 반드시 여권에 기재된 서명과 동일해야 합니다.
필리핀 입국 이트래블 사이트 바로가기
필리핀 여행을 계획하고 계신다면, 이트래블(eTravel) 등록이 필수라는 점을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2025년 현재 필리핀 정부는 모든 외국인 방문객과 귀국하는 필리핀 국민에게 이트래블 등록을
ss.yiwi.co.kr
파파고 번역기 바로가기(https://papago.naver.com/)
파파고 번역기 바로가기 홈페이지를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파파고는 실시간 텍스트 번역뿐만 아니라 음성, 이미지 번역까지 지원하여 여행, 비즈니스, 학습 등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ss.yiwi.co.kr
'사이트 안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메일 로그인 바로가기 (2) | 2025.08.18 |
---|---|
워크넷구인구직 요양보호사 채용공고 바로가기 (2) | 2025.08.12 |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 미납 조회 바로가기 (4) | 2025.08.11 |
개인정보배움터 바로가기(https://edu.privacy.go.kr/) (2) | 2025.08.07 |
블루링크 홈페이지 바로가기 (2) | 2025.07.29 |